라모씨의 다락방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라모씨의 다락방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1)
    • 대기과학 (11)

검색 레이어

라모씨의 다락방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기후인자

    2022.02.05 by 라모씨

  • 전선

    2022.02.05 by 라모씨

  • 기단

    2022.02.04 by 라모씨

  • 복사 법칙

    2022.01.30 by 라모씨

  • 복사에너지

    2022.01.30 by 라모씨

  • 인공증우

    2022.01.30 by 라모씨

  • 강수의 발달

    2022.01.30 by 라모씨

  • 구름의 분류

    2022.01.30 by 라모씨

기후인자

만약 지구의 표면이 균질하다고 가정하면 전세계적인 기후의 분포는 대단히 단순할 것이다. 즉, 세계는 위도에 평행하게 몇 가지 기후로 분류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기후는 수륙분포 주풍의 방향과 위치, 지형에 따른 고도, 해류의 분포, 기압 및 바람계의 분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위도를 포함하여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이들을 기후 인자라 한다. 1. 위도 지면이 받는 태양 에너지의 변동은 기온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즉, 구름의 양이나 대기 중의 분진 등이 지역적인 여건으로써 어느 정도 기온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전구 기온의 분포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태양의 남중 고도와 일조 시간의 계절적인 변동이다. 이들의 변동은 위도에 평행하기 때문에 지면이 태양 에너지를 받는 양은 주로..

대기과학 2022. 2. 5. 21:30

전선

전선은 기단과 기단 사이, 또는 같은 기단 내에서도 변질된 기단과 덜 변질된 기단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선을 의미한다. 이 경계선의 연직방향 연장선으로 전선면(frontal surface) 또는 전선역(frontal zone)이라 하는데 이 경계선을 따라 강수등의 기상현상이 많이 발생하므로 중요하다. 전선은 형성되는 원인에 따라 동반하는 날씨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한랭전선(cold front), 온난전선(warm front), 정체전선(stationary front), 폐색전선(occluded front) 등으로 나눠 설명된다. 이들 중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을 활성전선(active front)과 비활성전선(inactive front)으로 각각 다시 나누기도 한다. 비활성 전선과는 별개로 한대 제트에서 하강..

대기과학 2022. 2. 5. 21:04

기단

기단이란 성질이 일정한 거대한 공기덩이를 말한다. 이때 성질이 일정하다는 것은 주로 기온과 습도가 주어진 고도에서 수평적으로 아주 비슷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거대하다는 것은 수천 ㎢ 정도의 범위를 가짐을 의미한다. 대규모 공기덩이가 일정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필요한데 먼저 넓은범위에 걸쳐 일정한 성질을 가져야 하므로 평지여야한다. 두번째로 한 지역에서 공기가 오랫동안 정체하면서 동질화하기 위해서 바람이 약해야 한다. (이런 조건은 주로 고기압이 지배하고 있는 지역에서 형성된다.)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이 겨울에는 얼음이나 눈이 덮힌 고위도의 평지이며, 여름에는 저위도인 아열대 해양이나 사막지역이다. 중위도 지역은 기단의 발생지로는 적합하지 않으나, 지표 특성에 따라 특유의 기단이 형..

대기과학 2022. 2. 4. 19:19

복사 법칙

모든 물체는 전자파 형태로 에너지를 복사하고 이것이 다른 물체에 입사되면 그 물체의 분자운동에너지로 되어 열로 바뀐다. 복사에너지는 어떤 물체의 표면에 입사될 때 빛과 마찬가지로 일부는 반사, 일부는 투과되고 그 나머지가 흡수된다. 입사되는 전 에너지에 대한 흡수, 반사 및 투과에너지의 비를 각각 흡수율(absorptivity, A) , 반사율(reflectance, R), 투과율(transmissivity, T)이라 하면, A + R + T = 1 이 된다. 완전 불투과체( T = 0 )는 A+R=1이 된다. 완전 불투과체가 입사한 모든 에너지를 흡수하고 반사하지 않으면(A=1, R=0), 이 물체를 완전 흑체 또는 흑체라고 한다. 그리고 입사되는 복사에너지르 ㄹ모두 반사시키는 물체(R=1, A=0)를..

대기과학 2022. 1. 30. 14:23

복사에너지

열이동의 형태에는 전도, 대류, 복사가 있다. 전도와 대류현상은 열을 전하는 매체가 필요하지만 복사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복사는 물체로부터 열에너지가 전자파로서 직접 방출되는 현상으로서 다른 물체가 이를 흡수하면 다시 열로 되어 그 물체를 가열시킨다. 물체는 주위 환경과 관계없이 물체 자신의 표면 상태와 온도 만에 의해 결정되는 열량을 항상 복사하며 동시에 다른 물체로부터의 복사를 흡수한다. 복사하는 양과 흡수하는 양과의 차에 의하여 물체가 가열 또는 냉각된다. 태양열이 지구상에 도달하는 것은 오로지 복사에 의한다. 만일 구름이 있으면 열은 흡수 또는 반사되어 지표면에 도달하는 열량은 그만큼 감쇠된다. 복사는 일종의 광파로서 이동하는 것이므로 속도는 광속과 같다. 모든 물체는 그 온도에 따라 표면에서 전..

대기과학 2022. 1. 30. 13:38

인공증우

인공증우는 강수이론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미국의 Shaefer는 1946년에 인공증우 실험을 처음으로 시도하여 성공하였다. Shaefer는 과냉각 수적이 포함된 한랭운에 드라이아이스를 뿌려 눈을 내리게 하였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 각국에서는 인공증우 연구와 실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거의 실용화의 단계까지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에 기상청 기상연구소에서 소백산 이화령에서 인공증우 실험을 실시한 바가 있으며, 계속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인공증우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원리는 강수기구이론을 응용한 것이다. 인공증우를 위해서는 구름 속의 환경을 바꿔야 한다. 예를 들면 구름 속의 환경을 바꿔야 하는데, 구름 속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드라이아이스를 뿌리..

대기과학 2022. 1. 30. 13:19

강수의 발달

대기 중에서 구름은 응결핵 역할을 하는 직영 1㎛정도의 에어로졸 입자 주위에 응결 과정을 통해 수증기가 모여들어 수적의 크기가 20~25㎛까지 성장함으로써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수적의 크기가 직경 20~25㎛ 이상이 되면 더 많은 수증기가 매우 많은 수의 수적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성장 속도는 둔화된다. 즉, 구름 입자들은 평균 직경 10㎛ 내외로 아주 작아 구름 내의 난류에 의해 떠있게 된다. 강수 입자의 크기가 1mm 정도인 점을 감안한다면, 하나의 강수 입자가 되려면 약 100만 개의 구름 입자가 뭉쳐져야 한다. 강수 발달 과정의 연구결과 대기 중에서 수증기의 응결 과정으로만 구름입자에서 강수 입자로 성장하는 것은 구름의 지속시간 이내에 거의 불가능하며, 수적 간의 충돌에 의해 성장한다는 것이 알..

대기과학 2022. 1. 30. 01:42

구름의 분류

구름의 분류는 19세기 초까지는 공식적으로 분류, 명명되지 않았다. 프랑스의 Lamarck가 1802년에 최초로 구름의 분류를 제안했으며, 1년 후 1803년 영국의 과학자 Luke Howard가 구름분류 시스템을 만들어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그는 구름을 크게 층을 의미하는 stratus, 쌓여있다는 의미의 cumulus, 곱슬머리를 뜻하는 cirrus, 격렬한 강수를 뜻하는 nimbus로 나누었다. 이후 1887년 Abercromby등이 Howard의 구름분류를 약간 수정하여 발표한것이 널리 사용되다가 현재에는 국제적으로 WMO에서 정한 기본 운형 10종을 기본구름으로 인정하여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름의 분류 기준은 구름의 겉모양과 고도이다. 아래의 표는 대류권에서 고도에 따라 ..

대기과학 2022. 1. 30. 00: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라모씨의 다락방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