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지구의 표면이 균질하다고 가정하면 전세계적인 기후의 분포는 대단히 단순할 것이다. 즉, 세계는 위도에 평행하게 몇 가지 기후로 분류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기후는 수륙분포 주풍의 방향과 위치, 지형에 따른 고도, 해류의 분포, 기압 및 바람계의 분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위도를 포함하여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이들을 기후 인자라 한다.
1. 위도
지면이 받는 태양 에너지의 변동은 기온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즉, 구름의 양이나 대기 중의 분진 등이 지역적인 여건으로써 어느 정도 기온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전구 기온의 분포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태양의 남중 고도와 일조 시간의 계절적인 변동이다. 이들의 변동은 위도에 평행하기 때문에 지면이 태양 에너지를 받는 양은 주로 위도의 함수가 된다. 연중 온도가 높은 적도에서는 대기의 꼭대기에 도달한 태양 에너지가 지상에 도달하는 거리의 계절적 변화가 작기 때문에 연교차가 작고, 태양에너지가 지상에 도달하는 거리의 계절적 변화가 상대저으로 큰 고위도에서는 연교차가 크다.
2. 수륙분호
위도 다음으로 기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써는 수륙 분포를 들 수 있다. 물은 토양이나 바위보다 비열이 크기 때문에 천천히 식고 ,천천히 가열되는데 이로 인해 바다나 호수의 기온 변동은 육지에서보다 적다. 기후는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대륙성 기후로 나뉠 수 있는데, 해양성 기후는 대륙성 기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연교차가 적은 온화한 기후로 간주될 수 있다. 즉, 물의 온도 조절 능력으로 해양성 기후 지역에서는 여름이나 겨울이 지나치게 덥거나 춥지는 않다. 육지와 해양가느이 서로 다른 가열율의 차이는 기압과 바람계의 변화를 불러일으켜 강수의 변화도 일으킨다.
즉, 여름철 대륙은 해양에 비하여 빨리 기온이 상승하여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고 기압이 낮아진다. 대륙에서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해양으로부터 대륙으로 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대륙에 많은 강수를 유도한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대륙의 기온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고기압이 형성되어 대류그이 건조하고 찬 바람이 대륙에서 해양으로 불어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해양과 육지 간의 가열율 차이로 생겨나는 순환을 몬순 순환이라 하며 몬순 순환은 세계 여러 곳의 기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주풍
수륙 분포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주풍(pre-vailing wind) 방향에 의해서 그 정도가 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바다로부터 항상 불어오는 방향에 있는 지역은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기 때문에 해양성 기후의 특징을 갖게 된다. 반면에 대류그이 풍하쪽에 있는 곳은 더욱 더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나타낸다.
4. 지형
산과 산맥같은 지형도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해안선을 따라 놓인 산맥은 해양성 기후가 대륙 깊숙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도 한다. 또 이러한 지형 분포는 산맥의 풍상측에 지형성 강우를 일으키고 풍하측에는 건조지역을 만들기도 한다. 기온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지대가 높은 고원지역에는 같은 위도의 지역보다 기온이 낮아 특이한 소위 고산 기후를 형성하기도 한다. 고산 기후의 특징 주의 하나는 기온의 일교차가 크다는 것이다. 즉, 고지대에서는 태양에너지가 지면에 도달하는 거리가 저지대에 비해서 짧기 때문에 낮 동안에는 효율적으로 가열되지만, 저지대보다 공기의 밀도가 낮아서 수증기 등에 의한 온실기체 효과가 감소되어 밤에는 복사냉각에 의해 크게 감소하게 된다.
5. 해류
해류는 바다에 인접한 육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령 한류가 지나는 곳에 위치한 해안 지역은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반대로 난류가 지나는 곳에 위치한 해안 지역의 기온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다. 예를 들어 난류인 북반구의 걸프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가 지나는 곳과 남반구의 브라질 해류, 동호주 해류가 지나는 지역은 난류의 영향으로 온난한데 특히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철에 그 영향이 더 크다. 반면에 한류인 북반구의 캐너리스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와 남반구의 페루 해류, 벤구엘라 해류 등이 지나는 지역은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보다 기온이 낮다.
6. 기압과 바람계
남북 방향의 대기 순환에 의해서 볼 수 있듯이 적도 지역에는 고온 다습하며 강수가 많은 저기압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열대 중위도에는 건조한 고기압대, 그리고 고위도에는 수많은 저기압이 통과하며 강수를 내리는 저기압대가 있다. 이러한 기압대의 분포는 정확히 위도에 평행하지는 않지만 동서 방향으로 띠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띠는 태양 고도의 계절적인 변동에 따라 남북의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특정한 지역의 바람의 방향도 바뀌며 한 기후 영역에서 다른 기후 영역에 속하게 되기도 한다.
댓글 영역